Skip to content
seedbala 씨드발아

SEEDBALA

정성글은 에세이에, 나머지는 막글,,, (instagram: @seedbalah)

  • 홈
  • Essay
  • 각종테스트🫰🏻
  • 식물
    • 식물 팁
    • 나의식물
  • ⌨️오토핫키🖱️
  • 여행정보
  • 기타 잡다
  • Toggle search form

⚖️ 슈뢰딩거의 살인(자) – “슈뢰딩거의 고양이”의 법적 사고실험

Posted on 2025-07-242025-07-24 By 시드발아

“한 사람의 죽음, 가해자는 누구인가?”

과학을 조금이라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슈뢰딩거의 고양이’라는 사고 실험을 한 번쯤 들어봤을 것이다.
상자 안에 든 고양이는, 상자를 열어보기 전까지는 살아있으면서 동시에 죽어있는 상태다.
이 패러독스는 “관찰하기 전까지 결과가 정해지지 않는다”는 양자역학적 세계관의 상징이 됐다.

그런데, 이 ‘슈뢰딩거의 고양이’가 법정에 등장한다면 어떻게 될까?
범죄의 책임은 누구에게 물어야 할까?
누가 진짜 살인자이고, 누가 억울한 피해자인가?


🧪 슈뢰딩거의 고양이, 법정에 서다

  • 실험의 설정
    슈뢰딩거는 “상자 안 고양이는 관찰 전까지는 생사 불명”이라 했다.
  • 법적 딜레마로 치환하면?
    만약 어떤 사람이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 투신했는데, 떨어지는 도중 누군가 쏜 총에 맞아 죽었다면?
    이때,
    • 이미 죽고 있던 걸까?
    • 총 쏜 사람이 살인자인가?
    • 아니면 투신한 본인에게 책임이 있는가?

🕵️‍♂️ 로널드 오퍼스 사건 ‘슈뢰딩거의 살인자(허구)’

가장 유명한 예시가 로널드 오퍼스 사건이다.(유명하지만 실제사건이 아님)
“자살인가, 타살인가? ‘로널드 오퍼스 사건’의 진실”

요약:

  1. 로널드 오퍼스는 아파트 옥상에서 자살을 시도해 투신.
  2. 그는 중간층 창문을 지나며 총에 맞아 즉사.
  3. 조사 결과, 창문 너머에는 싸움 중인 노부부가 있었고, 남편이 부인을 위협하려 쏜 총이 실수로 발사돼 창밖을 지나던 오퍼스를 맞혔다.
  4. 하지만, 그 총에는 원래 탄이 없었어야 했으나, 누군가 몰래 장전해 두었다.
  5. 반전: 총에 탄을 넣은 사람이 바로 로널드 오퍼스 자신이었다! 그는 부모가 싸우는 것을 막으려고 일부러 탄을 넣어둔 것.
  6. 결국, 그는 “자신이 장전한 총”에 “자신이 뛰어내려 맞아 죽은” 아이러니한 희생자가 됐다.

법적 쟁점:

  • 이 사건에서 사망의 원인은 자살인가? 타살인가?
  • 부모가 실수로 쏜 총이지만, 탄을 장전한 사람이 따로 있다면?
  • 책임 소재가 불분명한 상황: 슈뢰딩거의 고양이처럼, 결과가 “관찰”될 때까지, 혹은 “정확히 밝혀지기 전까지”는 가해자와 피해자의 경계가 모호하다.

🧩 현실의 “슈뢰딩거의 살인자” 적용 사례들

1. 알버트 볼리스 사건 (영국, 1927)

  • 실제 판례!
  • 남편(볼리스)이 자살하려고 건물에서 뛰어내림 → 창문에 걸려 중상을 입음
  • 하지만 의사가 실수로 잘못된 처치를 해 사망
  • 법원에서는 “최초의 자살 시도가 사망의 주원인이었는가, 아니면 의료과실이 결정적이었는가?”를 두고 논쟁
  • 결과: 의사의 과실(타인의 행위)이 결정적이라 판단, 의료과실치사로 판결

2. 베일에 싸인 자살-타살 ‘중첩’ 사건 (한국 판례 등)

  • 본인이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다, 그 과정에서 누군가 우연히 직접적으로 사망에 개입했을 때
  • 예시:
    • 자살 시도 중 누군가 밀거나, 우연히 도구를 건드려서 사망이 앞당겨질 때
    • 법정에서는 최종적인 사망 원인과 인과관계를 기준으로 판단
    • 명확한 고의가 없더라도, 우연이라도 ‘인과관계’가 입증되면 ‘업무상 과실치사’, ‘과실치사’가 적용되기도 함

3. 미국의 “더블 액트(Intervening Act) 법리” 사례

  • 범죄자가 가해를 가했으나, 그 피해자가 병원에서 치료 중 의사의 중대한 실수로 사망할 경우
  • 가해자와 의사 모두에게 책임이 있는가?
  • 일반적으로는 “초기 원인 제공자(가해자)”가 주요 책임,
  • 하지만 의료행위가 ‘예측 불가능할 정도로 심각한 실수’라면, 의사도 별도 책임을 져야 한다는 판례도 있음.

4. ‘자살’과 ‘유도된 자살’의 경계 – ‘미셸 카터 & 코넬드 로이’ 사건

  • 미국에서 실제 있었던 청소년 자살 사건
  • 미셸 카터가 연인 코넬드 로이에게 자살을 “지속적으로 문자로 부추긴” 사실이 드러남
  • 이 경우,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람이 있지만, 그 원인을 타인의 행위(언어적 조장)에 두기도 함
  • 법적 딜레마:
    • ‘자살’인가, ‘간접 타살’(도움이 된 행위자의 책임)인가?

5. “자살 비상구 방해 사건” (일본, 1990년대)

  • 한 남성이 지하철 선로에 뛰어내려 자살을 시도함
  • 동시에 비상 브레이크를 당긴 사람이 있었는데, 오히려 그 탓에 열차가 갑자기 멈춰 피해자가 치여 사망
  • 법원에서는 ‘비상조치’가 최선의 선택이었으므로, 도와준 사람은 무죄
  • 하지만 “누가 최종 원인 제공자인가?”가 쟁점이 됨

🏷️ 그 외, 현실에서 자주 다뤄지는 케이스

  • 집단 따돌림으로 인한 자살: 여러 명이 ‘결정적 원인’에 기여했다면, 누가 주범인가?
  • 응급실에서의 오진/오처치 사망: 가해자가 직접적으로 사망케 한 것은 아니나, 이후 의료과실로 사망하면 책임은 어디까지인가?
  • 피해자 스스로 위험에 노출: 예) 스토킹 피해자가 도주하다가 사고사
    • “가해자의 간접적 책임”을 어디까지 인정할 것인가?

🧩 ‘슈뢰딩거의 살인자’란 무엇인가?

  • 관찰/해석/결정 이전에는 한 사건이 동시에 여러 법적 의미를 가질 수 있음
  • 상자를 열기 전, 고양이가 생사불명인 것처럼,
    수사·법적 판단이 끝나기 전에는
    • 사건이 ‘자살’일 수도,
    • ‘타살’일 수도,
    • 심지어 ‘과실치사’일 수도 있음

즉, “살인자”도 “피해자”도, 관찰(판단) 전까지는 두 가지 상태에 중첩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 실제 법정에서의 응용과 딜레마

실제로 법정에서는

  • 원인(사망의 직접적 원인)이 여러 개 겹칠 때
  • 책임 소재가 명확하지 않을 때
  • 의도와 결과가 충돌할 때
    이런 ‘슈뢰딩거의 살인자’적 상황이 종종 발생한다.

법적 정의는

  1. 의도(intent)
  2. 결과(result)
  3. 행위의 인과관계(causality)
    등을 종합해, “상자를 열어” 결론을 내린다.

💡 블로그 마무리 – “죽음의 원인은 상자를 열어야 알 수 있다?”

‘슈뢰딩거의 살인자’라는 개념은
한 가지 사건이 관점과 해석에 따라 완전히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음을 상징한다.
우리의 법과 정의, 그리고 삶과 죽음에 대한 철학적 물음까지 던져준다.


“상자를 열기 전까지, 그(혹은 그녀)는 동시에 살인자이자, 무죄일 수 있다.”


Other Categories

글 탐색

Previous Post: 청소년 로맨스 자살 반전 사건 (The Suicide Paradox)
Next Post: 🚢 테세우스의 배( Ship of Theseus)– ‘동일성’의 역설

More Related Articles

아킬레스건 완전파열 경험자 인터뷰, 수술부터 재활까지
7월부터 적용되는 대출규제의 장단점, 누가 웃고 누가 우나?
울릉도 물가 차이, 육지와 얼마나 다를까? 주요 품목별 가격 비교!
뉴트로 웰니스: 향수에서 타임리스한 건강으로
2025 태국‑캄보디아 전쟁 : 심각한 국경 충돌 전면전 가능성은?
미국 NFL, 해먼드 히긴스의 경추 골절 (2007)

Copyright © 2025 SEEDBALA.

Powered by PressBook Green WordPress the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