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2025년 MZ 신조어 표 정리
신조어 | 뜻 | 실제 사용 예시 |
---|---|---|
갓생러 | 자기계발에 몰두하는 사람 | “요즘 갓생러들 많아서 나도 자극됨.” |
스불재 | 스스로 불러온 재앙 | “그거 하다 스불재 온 거지 뭐.” |
킹받네 | 매우 화난다, 짜증난다 | “이거 진짜 킹받네.” |
억텐 | 억지로 텐션을 올리는 상황 | “억텐 그만 부려도 돼.” |
피셜 | 자신만의 공식적인 주장, 정보 | “내 피셜로는 이게 맞는 듯.” |
만반잘부 | 만나서 반가워, 잘 부탁해 | “안녕하세요! 만반잘부입니다 :)” |
손민수 | 타인을 따라 하는 사람/행동 | “나도 손민수 좀 해봐야지.” |
당모치 | 당연히 모든 치킨은 옳다 | “오늘 메뉴? 당모치지!” |
갑분싸 | 갑자기 분위기 싸해짐 | “갑분싸 만들어서 미안.” |
이생망 | 이번 생은 망했다 | “시험 망쳐서 이생망.” |
점메추 | 점심 메뉴 추천 | “점메추 좀 해줘.” |
제곧내 | 제목이 곧 내용 | “질문이요: 제곧내입니다.” |
고스팅 | 연락을 갑자기 끊는 행위 | “고스팅 당했어…” |
별다줄 | 별걸 다 줄인다 | “mz 신조어 진짜 별다줄이네.” |
갑통알 | 갑자기 통장 알람(급여 등) | “갑통알 온 날 최고다.” |
안물안궁 | 안 물어봤고 안 궁금해 | “안물안궁이야.” |
플러팅 | 썸 타는 단계의 가벼운 호감 표현 | “플러팅인지 헷갈려.” |
무물보 | 무물(무엇이든 물어보세요)에 답변함 | “무물보 올려줄게.” |
알잘딱깔센 | 알아서 잘, 딱, 깔끔, 센스 있게 | “알잘딱깔센하게 처리해줘.” |
사바사 | 사람 바이 사람(개인차 있음) | “그건 사바사야.” |
2025년 mz 신조어의 특징
- 짧고 직관적인 조합: 대부분 두세 음절, 짧은 문장.
- 영어+한글, 줄임말 혼용: 글로벌 환경과 모바일 소통 영향.
- 유머와 자기비판, 자기객관화: 상황을 가볍게 넘기거나 자기 성찰적인 의미가 많음.
- 관계의 거리 반영: 신조어 사용이 친밀도나 소속감을 암시함.
실제 mz 신조어 활용 팁
- 상황에 맞게 자연스럽게 섞어서 사용
예시: “오늘 갑분싸였는데, 킹받네. 그래도 알잘딱깔센하게 마무리함.” - 공적인 자리, 연장자 앞에서는 지양
세대별 언어 감수성이 다르므로, 공식 문서나 상사 앞에서는 사용에 주의. - 온라인 채팅, SNS에서 빈번하게 활용
밈 이미지, 댓글, DM 등에서 빠르게 확산.
신조어별 짧은 해설
- 갓생러: 스스로를 관리하고 자기계발에 열중하는 사람. MZ세대 자기 효능감 추구 경향 반영.
- 스불재: 실패도 유머로 넘기는 태도, 자책을 가볍게 털어냄.
- 킹받네: 짜증·화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동시에 유머러스하게 표현.
- 억텐: 진짜 감정과 가짜 감정의 구분을 스스로 인식하는 현상.
- 피셜: 정보의 주체와 신뢰도를 명확히 구분.
- 만반잘부: 관계의 장벽을 낮추고 친근하게 인사.
- 손민수: 개인적 개성보다 트렌드와 모방의 가치도 인정하는 분위기.
- 당모치: 사소한 것에도 취향 존중, 다름에 너그러운 태도.
mz 신조어가 소통에 미치는 영향
- 세대 내 동질감 강화
mz 신조어는 동년배끼리의 공감대 형성, 온라인 커뮤니티 결속력에 기여. - 세대 간 거리감 유발
생소한 단어로 인해 기성세대와 mz세대 간 의사소통에 장벽이 생길 수 있음. - 비공식·비대면 문화 심화
온라인/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위주에서 더 빠르게 신조어가 만들어지고 사라짐. - 자기 성찰과 유머의 문화 확산
어려움이나 실패도 유쾌하게 풀어내는 유행이 mz 신조어에 반영됨.
mz 신조어 변화의 흐름
- 신조어 유행 주기가 매우 짧아짐.
한 해 안에도 다양한 단어가 생겼다 사라진다. - 2025년 기준, mz 신조어의 사용은 mz세대 정체성의 일부로 자리잡았다.
- mz 신조어를 모르면 정보 습득과 네트워킹에서 소외될 수 있다.
신조어 활용 시 유의사항
- 모든 mz 신조어가 반드시 긍정적 의미만 갖진 않음.
일부 단어는 타인에게 불쾌감이나 오해를 줄 수 있으므로, 맥락 파악 필수. - 공식 석상·공공기관 등에서는 가급적 표준어 사용 권장.
- 신조어 남용은 대화의 본질을 흐릴 수 있으니, 상황에 따라 절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