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seedbala 씨드발아

SEEDBALA

정성글은 에세이에, 나머지는 막글,,, (instagram: @seedbalah)

  • 홈
  • Essay
  • 각종테스트🫰🏻
  • 식물
    • 식물 팁
    • 나의식물
  • ⌨️오토핫키🖱️
  • 여행정보
  • 기타 잡다
  • Toggle search form

나라별 결혼식 풍습 (축의금/결혼선물 문화 포함)

Posted on 2025-07-092025-07-09 By 시드발아

나라별 결혼식 풍습 깊이 보기

결혼식은 단순히 두 사람이 부부가 되는 절차가 아니다.
각 나라마다 결혼식이 가진 무게, 준비의 과정, 그리고 그 안에 담긴 가족과 사회의 가치가 서로 다르다.
때로는 논란이 되고, 시대 흐름에 따라 변하는 모습도 적지 않다.
한국을 제외한 여러 나라의 결혼 문화를 더 깊게 들여다본다.

(이 글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1. 중국

중국의 결혼식은 오랜 시간 가족과 집안의 명예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전통적으로 결혼은 두 집안의 결합이라는 의미가 컸고, 결혼식 당일에도 신랑이 신부 집으로 가서 신부를 맞이하는 ‘영친(迎親)’ 행사가 핵심이었다.
이 과정에서 신랑이 신부를 데려가기 위해 ‘문값’을 내고, 신부 측 친구들이 의도적으로 문을 잠가 신랑을 곤란하게 하는 장난(차문, 闯门)도 흔하다.

최근에는 도시를 중심으로 화려한 웨딩홀 결혼식이 늘었지만, 여전히 지방이나 농촌에서는 전통 방식이 이어진다.
특히 중국 결혼식의 규모는 사회적 이슈가 되기도 한다.
양가 부모의 체면과 인맥을 과시하기 위한 대규모 연회,
수십~수백 명에 이르는 하객 초대,
결혼식 비용을 둘러싼 논쟁,
‘신부값(彩礼, 차이리)’과 ‘지참금(嫁妝, 지장)’ 문화도 사라지지 않았다.

청년 세대는 이런 전통을 부담스러워하며,
‘결혼 자체가 집 한 채 값’이라는 말이 나올 만큼 경제적 압박을 호소한다.
도시에서는 합리적으로 결혼식 규모를 줄이거나,
사진만 찍고 혼인신고만 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사회적 시선과 가족의 기대가 혼재한다.

축의금/선물:
중국에서는 붉은 봉투(홍바오)에 현금을 담아 축의금을 주는 문화가 뿌리 깊다.


2. 일본

일본의 결혼식은 절제와 배려, ‘예(禮)’의 정신이 바탕이다.
전통 혼례는 신사(神社)에서 이루어지며, 신랑과 신부가 각각 일본 전통 의상인 ‘시로무쿠(白無垢)’와 ‘하카마(袴)’를 입는다.
‘산산쿠도(三三九度)’라는 세 번씩 잔을 주고받는 의식은 두 집안의 연을 상징한다.

현대에는 호텔, 결혼식장 등에서 서양식 웨딩도 대중화됐지만,
결혼 준비부터 당일, 그리고 식사 자리까지 ‘섬세한 준비’와 ‘조용한 진행’이 특징이다.
식이 끝나면 신랑 신부가 일일이 하객에게 감사 인사를 하고,
‘히키데모노(引き出物)’라는 답례품을 정성껏 준비한다.
최근에는 결혼을 하지 않는 ‘비혼’ 선택도 점차 늘고 있다.

축의금/선물:
일본도 고슈기(ご祝儀)라는 봉투에 현금을 넣어 축의금으로 준다.
하객은 결혼식 참석이 정중하지 못하다고 느끼면 참석 대신 축의금만 보내기도 한다.


3. 중국계 싱가포르, 홍콩, 대만

이 지역들은 중국 전통과 서구 문화를 모두 받아들여
결혼식의 형태가 매우 다양하다.
호텔이나 대형 연회장에서 식을 올리는 경우가 많고,
하객의 숫자가 곧 사회적 신분과 연결된다는 인식도 남아 있다.
특히 싱가포르에서는 예식 시작 전, 하객이 명단에 이름을 남기고
현금을 봉투에 넣어 전달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축의금/선물:
홍바오(중국식 축의금), 일부는 상품권이나 선물도 함께 주는 경우가 있다.


4. 인도

인도의 결혼식은 일주일 가까이 이어지는 축제다.
힌두교, 시크교, 무슬림 등 종교에 따라 결혼식 의식이 다르지만
색색의 전통 의상, 가족·친지 모두가 어우러지는 춤과 노래,
‘메헨디’(손에 그리는 헤나 문양) 의식 등
풍성하고 다채로운 이벤트가 끊임없이 이어진다.

결혼은 가족 간의 연합,
특히 신부 집안이 신랑 측에 신부를 보내는 과정에 사회적 의미가 크다.
오늘날에는 ‘중매’보다 연애 결혼이 많아졌고,
혼수와 신부 측 부담을 둘러싼 논의도 이어진다.

축의금/선물:
현금 봉투와 함께, 금 장신구나 실용적인 생활용품 선물도 자주 주고받는다.


5. 미국

미국 결혼식은 ‘신랑·신부 중심’의 자유로운 방식이 일반적이다.
교회 결혼, 야외 웨딩, 스몰웨딩, 다양한 컨셉이 공존한다.
전통적으로 결혼식 전에 브라이덜 샤워, 리허설 디너 같은
소규모 이벤트가 열린다.

하객은 대부분 신랑·신부가 마련한 ‘웨딩 레지스트리(선물 목록)’에서
선물을 고르거나, 특별히 원하는 선물을 준비한다.
공식적인 축의금 문화는 드물지만,
최근에는 온라인 송금으로 현금을 전하는 경우도 종종 보인다.

축의금/선물:
물품 선물이 표준, 현금 축의금은 일부 상황에서만 사용된다.


6. 영국

영국의 결혼식은 전통적이면서도 품위가 느껴진다.
교회식, 정원 피로연, 작은 마을 파티 등
신랑·신부와 가족, 가까운 친구만 참석하는 비교적 소규모 결혼식이 많다.

웨딩 위시리스트를 공유하거나
생활용품, 주방용품, 기프트카드 등 실용적인 선물이 흔하다.
축의금이 필요하다는 암묵적 요청은 거의 없고,
‘선물의 크기보다는 마음’을 중시한다.

축의금/선물:
선물 문화가 중심, 현금 축의금은 드물다.


7. 프랑스

프랑스는 혼인신고(시청에서 공식 서명) 후 가족·친지와 파티를 여는 경우가 많다.
자유로운 분위기,
신랑·신부가 주도하는 개성 있는 이벤트가 많다.

하객들은 신혼집에 어울릴만한 생활용품이나,
커플의 취향을 반영한 선물을 준비한다.
최근에는 예식비를 조금이라도 보태주고자
현금이나 기프트카드를 건네는 경우도 늘었다.

축의금/선물:
선물이 전통, 현금도 점차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8. 독일

독일의 결혼식은 실용적이고 조용하다.
결혼 전 친구들이 모여 신랑·신부를 놀리는 ‘폴터아벤트’(깨진 그릇으로 행운을 빈다) 행사가 있고,
결혼식은 가족·친구만 초대한 아담한 파티가 주를 이룬다.

선물은 실용적이고 개별적이다.
부부의 취미나 생활에 맞는 것을 직접 고르거나,
현금, 기프트카드를 주기도 한다.

축의금/선물:
선물과 현금이 모두 가능하다. 현금이 점점 더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결혼식에 대한 나의 생각

여러 나라의 결혼 문화를 돌아보면
결국 ‘내가 누구를 위해, 무엇을 남기고 싶은가’라는 질문에 닿는다.
누군가는 집안의 명예와 체면을,
누군가는 신랑·신부의 행복과 추억을,
누군가는 공동체 전체의 축제를 우선시한다.

그 모습이 때로는 논란이 되고,
사회 변화를 이끌기도 한다.
결혼식이란 결국
그 사회가 지금 어디쯤 서 있는지 보여주는 하나의 거울이 아닐까 생각한다.

Other Categories

글 내비게이션

Previous Post: 진짜 특별한 생일 보내고 싶다면? 나라별 이색 생일 축하법 소개
Next Post: 오토핫키 게임 이미지서치 기본틀

More Related Articles

전쟁 드론 가격은 얼마일까? 수억짜리 리퍼 vs 30만원짜리 자폭 드론 ⚔️
로버트 던롭 사고 원인과 비극: North West 200 사건 완벽 분석
UFC의 악동, 코너 맥그리거: 대표 사고친 내용 모음
🏁 후안 마누엘 코레아·앙투안 유베르트 사망 사고 (2019, F2)
한국에서 백두산 천지 가는 법 완벽 정리: 루트, 항공, 숙소, 시기별 꿀팁까지
지하철 5호선 방화범 신상,범행전말

Copyright © 2025 SEEDBALA.

Powered by PressBook Green WordPress theme